[나영무의 약손이야기] (20) 부상 방지를 위한 십계명
http://media.daum.net/v/20131214045504506
http://media.daum.net/v/20131214045504506
출처 : [미디어다음] 대표팀
글쓴이 : 스포탈코리아 원글보기
메모 : <부상방지를 위한 십계명>
1. 평소 근육관리를 잘하자. 피로한 근육은 뭉치고, 뭉친 근육 딱딱하게 굳어가면서 기능이 상실돼 아프고 경기력이 떨어진다. 근육 마사지나 스트레칭, 근력 강화 운동 등으로 잘 관리하자.
2. 컨디션 조절을 잘 하자. 컨디션이 나쁘면 부상으로 이어진다. 컨디션이 떨어지는 날은 운동 강도를 낮추어 조심스럽게 하도록 하자. 실력이 좋은 사람보다 컨디션이 좋은 사람의 경기력이 더 좋다.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철저히 하자. 준비 운동을 통해 몸의 컨디션을 끌어올리고, 정리 운동으로 몸의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평소 체력관리를 잘하자. 일을 하다가 주말에 축구하는 분들은 유연성이 많이 떨어진다. 특히 앉아서 일하는 분들은 더하다. 체력 중에는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 유연성이 떨어지면 부상과 직결됨을 생각해야 한다. 유연성 다음으로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균형력, 민첩성, 순발력 등을 키우자
5. 통증을 오래 참지 말자. 통증이란 것은 염증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염증이란 것은 몸에 부상이나 질병이 있어 발생하는 것이기에 2일이상 가는 통증은 참지 말고 반드시 원인을 찾아내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상이 만성화되면 치료가 매우 어렵고, 기간도 오래가는 것은 물론 경기력도 저하된다. 우리 몸의 근육은 아프면 수축이 잘 안 된다는 것을 유념하자. 부상투혼은 결코 좋은 말이 아니다.
6. 부상시 응급처치법을 숙지하자. 특히 의식을 잃었을 때, 심장이 멈추었을 때 심폐소생술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7. 갑작스런 운동을 조심하자. 평소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하면 근육 등 몸이 놀라기 때문이다. 평소 잘 하던 동작은 훈련돼 문제가 없지만 잘 안하던 동작은 준비가 되지 않아 부상의 위험이 높다.
8. 넘어질 때에는 낙법을 이용하라. 박지성 선수처럼 온몸으로 넘어지면 충격이 분산돼 큰 부상을 줄일 수 있다.
9. 체력에 맞게 운동하라. 체력이 5인데 8만큼의 축구를 한다면 몸이 상한다. 체력을 늘리기 위해서 운동하려면 좋은 컨디션일 때 10% 만큼만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자.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도 하지만 태클 피하는 동작을 떠 올리는 생각을 하면 몸이 미리 대비하기 때문에 부상을 다소 막을 수 있다.
나영무(솔병원 원장)
사진제공=솔병원
1. 평소 근육관리를 잘하자. 피로한 근육은 뭉치고, 뭉친 근육 딱딱하게 굳어가면서 기능이 상실돼 아프고 경기력이 떨어진다. 근육 마사지나 스트레칭, 근력 강화 운동 등으로 잘 관리하자.
2. 컨디션 조절을 잘 하자. 컨디션이 나쁘면 부상으로 이어진다. 컨디션이 떨어지는 날은 운동 강도를 낮추어 조심스럽게 하도록 하자. 실력이 좋은 사람보다 컨디션이 좋은 사람의 경기력이 더 좋다.
3.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철저히 하자. 준비 운동을 통해 몸의 컨디션을 끌어올리고, 정리 운동으로 몸의 노폐물을 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4. 평소 체력관리를 잘하자. 일을 하다가 주말에 축구하는 분들은 유연성이 많이 떨어진다. 특히 앉아서 일하는 분들은 더하다. 체력 중에는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 유연성이 떨어지면 부상과 직결됨을 생각해야 한다. 유연성 다음으로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균형력, 민첩성, 순발력 등을 키우자
5. 통증을 오래 참지 말자. 통증이란 것은 염증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염증이란 것은 몸에 부상이나 질병이 있어 발생하는 것이기에 2일이상 가는 통증은 참지 말고 반드시 원인을 찾아내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상이 만성화되면 치료가 매우 어렵고, 기간도 오래가는 것은 물론 경기력도 저하된다. 우리 몸의 근육은 아프면 수축이 잘 안 된다는 것을 유념하자. 부상투혼은 결코 좋은 말이 아니다.
6. 부상시 응급처치법을 숙지하자. 특히 의식을 잃었을 때, 심장이 멈추었을 때 심폐소생술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
7. 갑작스런 운동을 조심하자. 평소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하면 근육 등 몸이 놀라기 때문이다. 평소 잘 하던 동작은 훈련돼 문제가 없지만 잘 안하던 동작은 준비가 되지 않아 부상의 위험이 높다.
8. 넘어질 때에는 낙법을 이용하라. 박지성 선수처럼 온몸으로 넘어지면 충격이 분산돼 큰 부상을 줄일 수 있다.
9. 체력에 맞게 운동하라. 체력이 5인데 8만큼의 축구를 한다면 몸이 상한다. 체력을 늘리기 위해서 운동하려면 좋은 컨디션일 때 10% 만큼만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이미지 트레이닝을 하자.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도 하지만 태클 피하는 동작을 떠 올리는 생각을 하면 몸이 미리 대비하기 때문에 부상을 다소 막을 수 있다.
나영무(솔병원 원장)
사진제공=솔병원
'꿈을 향한 도전기 > 축구소식&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스크랩] 홍명보 "아이 판단 옆에서 지켜보는 부모 되세요" (0) | 2014.04.01 |
---|---|
[스크랩] * 안녕하세요. 트레이너 고현우입니다. (0) | 2014.03.21 |
[스크랩] 2014 초.중.고 주말리그 주요 변경 내용 (0) | 2014.03.17 |
[스크랩] 2014 중등리그 왕중왕전 진출팀 현황(64팀) (0) | 2014.03.11 |
[스크랩] 2014년 서울특별시 초중고 리그 권역 편성표 (0) | 2014.03.07 |